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여러분, 혹시 뉴스를 보시다 보면, 유상증자나 무상증자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주식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자주 접하시는 용어일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유상증자의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상증자란?
유상증자의 의미에 대해 알려드리기에 앞서 증자란 무슨 의미일까요? 기업에서 돈을 빌리기 위해서 회사의 주식을 발행하여 해당 주식 권리를 타인에게 줌으로써, 투자금을 확보한다는 뜻인데요.
기업에서 돈을 빌리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차입과 증자가 있습니다. 차입은 쉽게 말해 타인에게 대출을 받는다고 보시면 되십니다. 즉, 원금과 더불어 이자까지 갚아야 하는 것이지요. 한편, 증자는 권리를 판다고 보시면 되십니다. 다시 말해, 우리 회사 주식(권리)으로 돈을 빌리겠습니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차입은 원금과 이자를 함께 만기일까지 갚아야 합니다. 쉽게 말해, 대출금 갚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기업 입장에서는 이자와 더불어 대출 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증자라는 방법을 더 선호하게 됩니다. 받은 투자금을 토대로 주식을 추가로 발행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의미
위에서 증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그렇다면 유상증자는 무슨 의미일까요? 빌린 돈을 통해 기업의 자본금을 늘려서 새로운 주식을 발행한 뒤에 그 주식을 빌려준 사람에게 판다는 의미인데요. 새로운 주식을 발행했다는 의미에서 신주발행이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대출도 있고, 채권도 있는데 굳이 유상증자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쉽게 말해, 덜 귀찮고 부담이 적기 때문입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좋은 자금 조달 방식이 됩니다. 한편, 빌려준 사람들에게는 어떠한 혜택이 있을까요? 이자도 못받는데 말이죠.
여러분들도 주식 주가를 보시다보면 매일 가격이 오락가락 하는것을 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좋은 소식이 들려오거나, 기업이 많은 매출을 기록했을 경우, 주가는 순식간에 오르는데요. 바로 이러한 점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자보다도 더 많은 이익이 있기 때문에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빌려줬다고 보시면 되십니다.
장점
앞서 언급드렸듯이, 돈을 빌리는 절차가 비교적 덜 까다롭다는 이유가 있습니다. 게다가, 차입과 같은 형식의 자금 조달은 기업의 가계부(재무제표)에 부채(빚)가 증가해서 기업의 이자 부담이 커진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단점
반면, 단점이라고 한다면 기업의 이미지가 하락한다는 점입니다. 흔히, 돈을 빌린다는 의미가 재정 상황이 좋지 않다는 보편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단기적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보시면 되십니다.
게다가, 기존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에게 피해를 끼치게 됩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주식을 접하시다보면, '주당순이익' 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주식 한 주로 벌어들인 이익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십니다.
그런데 유상증자로 인해 주식수가 늘어나게 되면 해당 순이익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주주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꼴이 되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