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국민연금 인상이란 뉴스 소식에 많은 분들의 이목을 끌고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국민연금에 관련된 용어 소득대체율의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대체율이란?
최근 국민연금 개혁이라는 주제로 인터넷이 떠들썩 했는데요. 이번 개혁안이 18년 만에 통과된 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렸습니다. 그 중에서도 소득대체율이란 용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소득대체율이란 연금액이 가입자의 생애 표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서 소득대체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연금 가입자들이 돌려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커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는데요.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A씨는 연금납부기간을 40년 충족했으며, 현재 벌어들이고 있는 소득이 350만원입니다. 현행 소득대체율 40%를 적용한다면 A씨의 연금수령액은 140만원이 됩니다.
개혁 이전의 기존 대체율은 40%까지 측정되었으나, 이번 개혁 안건이 통과된 이후로 내년 2026년부터는 43%로 변경됩니다. 참고로 국민연금 가입기간은 40년을 전제로 하는데요. 가입자의 가입기간이 40년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받을 수 있는 연금이 적다는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